개발하자(DevHaja)

FrontEnd/React & React-Native

[React] State

📝 state state는 Component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props는 Component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부모Component가 설정하는 값이며, component 자신은 해당 props를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ps를 바꾸려면 부모 Componenet에서 바꾸어 주어야합니다. React에는 두 가지 state가 있습니다. 하나는 class형 Component가 지니고 있는 state이고, 다른 하나는 함수형 Component가 지니고 있는 useState라는 함수를 통해 사용하는 state입니다. 📜 class형 Component의 state - Component에 state를 설정할 때는 constructor 메서드를 작성하여 설정합니다. constu..

FrontEnd/React & React-Native

[React] Props

📝 Props props는 properties의 줄인 표현으로 Component 속성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요소 입니다. props 값은 해당 Component를 불러와 사용하는 부모 Component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JSX 내부에서 props 렌더링 props 값은 Component 함수의 파라미터로 받아 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ps를 렌더링할 때는 JSX내부에서 { } 기호로 감싸주면 됩니다. const MyComponent = props => { return Hi, My name is { props.name }!!; }; export default MyComopnent; 📜 Component 사용할 때 pops 값 지정 불러온 Component 내부에 props 값을 지정할 수..

FrontEnd/React & React-Native

[React] Component

📝 Component 리액트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요소는 여러 가지 Componen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omponent의 기능은 단순한 템플릿이 아닌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이에 맞추어 UI를 만들어 주고 라이프사이클 API를 이용하여 Component가 화면에서 나타나고 사라질 때, 변화가 일어날 때 주어진 작업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임의 메서드를 만들어 특별한 기능을 붙여줄 수 있습니다. 📜 class형 Component 클래스형 Component에서는 render 함수가 꼭 있어야 하고, 그 안에서 보여 주어야 할 JSX를 반환해야 합니다. impor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App extands Compon..

FrontEnd/React & React-Native

[React] JSX

📝 JSX JSX는 자바스크립트의 확장 문법이며 XML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JSX 형식으로 작성한 코드는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기 전에 코드가 번들링되는 과정에서 바벨을 사용하여 일반 자바스크립트 형태의 코드로 변환됩니다. //JSX 코드 function App(){ return( Hello ); } export default App; //바벨을 사용하여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된 코드 function App(){ return React.createElement("h1", null, "Hello"); }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때마다 JSX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React.createElement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합니다. 📝 JSX의 장점 1. 보기 쉽고 익숙하다 위처럼 일반 자바..

FrontEnd/React & React-Native

[React] React Characteristic(리액트의 특징)

📝 DOM(Document Object Model) 객체로 문서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XML이나 HTML로 작성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DOM을 활용하여 객체에 javascript와 css를 적용합니다. DOM은 트리 형태라서 특정 노드를 찾거나 수정하거나 제거하거나 원하는 곳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 Virtual DOM Virtual DOM을 사용하면 실제 DOM에 접근하여 조작하는 대신, 이를 추상화한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구성하여 사용합니다. 리액트에서 데이터가 변하여 웹 브라우저에 실제 DOM을 업데이트할 때는 다음 세 가지 절차를 밟습니다.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면 전체 UI를 Virtual DOM에 리렌더링합니다. 이전 Virtual DOM에 있던 내용과 현재 내용을 비교합니다. 바뀐 부분만 ..

FrontEnd/React & React-Native

[React] Why React?(왜 리액트인가?)

현재 자바스크립트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이제 자바스크립트만으로도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중 프론트엔드 사이드에서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특별한 도구 없이 순수 자바스크립트로만 관리하는 것은 다소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Angular, Backbone.js, Derby.js, vue.js 등과 같은 프레임워크가 조금씩 다른 관점에서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들은 주로 MVC(Model-View-Controller), MVVM(Model-View-View Model) 아키텍쳐를 사용합니다. MVC, MVVM과 같은 여러 구조가 지닌 공통점은 모델(Mo..

FrontEnd/JavaScript & TypeScript

[JS] 랜덤 숫자 추출 방법(범위 지정)

📋 script를 이용해 지정된 범위 내 랜덤으로 숫자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 Math.floor() Math.floor() 함수는 주어진 숫자와 같거나 작은 정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반환합니다. ✔ Math.random() Math.random() 함수는 0 이상 1 미만의 구간에서 근사적으로 균일한 부동소숫점 의사 난수를 반환하며, 이 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로 변형할 수 있습니다. [CODE] Math.random() 함수는 0 이상~1 미만의 난수를 생성합니다. Math.random(); Math.floor() 함수는 해당 숫자와 같거나 해당 숫자 보다 더 작은 정수를 반환 합니다. Math.floor(3.5) //결과 3 Math.floor(-3.5) //결과 -4 Math.random(..

FrontEnd/JavaScript & TypeScript

[JS] addEventListener 종류

📋 addEventListener DOM 객체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해당 이벤트 처리 핸들러를 추가할 수 있는 오브젝트입니다. 특정 DOM에 script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특정 함수를 호출합니다. ✔ 사용 방법 초기 적용 시 DOM객체.addEventListener(이벤트 명, 실행할 함수 명, 옵션) 사용 후 제거 시 DOM객체.removeEventListener(이벤트 명, 실행할 함수 명, 옵션) ✔ 자주 사용하는 이벤트 종류 click : 클릭할 때 이벤트 발생 mouseover : 마우스를 요소 위에 올리면 발생 mouseout : 마우스가 요소 밖으로 벗어날 때 발생 mousedown : 마우스 클릭 버튼을 누르고 떼기 전인 순간 발생(드래그할 때 사용) mouseup : 마우스 클릭을 ..

FrontEnd/CSS

[CSS] '...' 처리하는 방법 (text-overflow : ellipsis)

📋 text-overflow text-overflow 란 박스 안에 내용이 넘칠 때 텍스트를 어떻게 처리할지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text-overflow 속성은 아래 두가지를 모두 충족할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overflow 속성값이 hidden, scroll, auto 일때 (visible 제외) white-space: nowrap ✔ '...' 처리하는 방법 [HTML] 텍스트 내용이 박스를 넘어가게 될때 ...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CSS] .text{ width:100px; overflow:hidden; text-overflow:ellipsis; white-space:nowrap; } overflow: hidden : 넓이가 100px을 넘어가는 내용에 대해서 보이지 않게 처리 text-ov..

devwoodie
'FrontEnd'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